본문 바로가기

vscode 에서 sftp 를 이용하여 서버소스관리하기(로칼에서 git 관리하기) 리눅스서버의 소스를 ssh로 직접 수정하는 방법은 매우 기초적인 방법이지만 원시적이다. 형상관리(git 이용)하고 싶지만 서버에서는 순수하게 소스만 관리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git 레포지토리를 만드는 경우 관련 파일이 많이 생긴다. 서버에 굳이 그걸 만들 필요가 없다. 로칼(나는 윈도우를 사용한다)에서 형상관리(나는 git을 사용한다)하고 서버는 최종 소스만 올리면 깔끔하다. 서버에 ssh로 접속해서 직접소스를 수정하는 것 보다는 vscode로 로칼에서 소스를 개발/관리하고 서버에는 최종본만을 업로드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된다 나는 vscode 확장 프로그램중 "SFTP"를 사용하기로 했다 서버의 소스를 로칼에서 직접 수정하는 것처럼 지원해주는 확장 프로그램이기 때문이다. 로칼에서 수정하면 파일은 서버.. 더보기
SSH 자동 로그인 (ssh 키를 이용한) ssh 를 통해 Linux / Unix에 로그인 할 일이 있다. 이 때 있어서 아래와 같은 경우 자동 로그인 하고 싶어진다 1. 일일이 비밀번호를 누르기 싫거나 2. 관리자가 자주 암호를 변경하는 경우 암호 때문에 쪼매 골치 아프다 그러면 ssh 키를 이용하여 자동 로그인 하고 싶어진다. 그 방법을 설명한다. 키를 만들면 비공개키와 공개키가 생긴다 비공개키를 내 컴퓨터에 넣어두고 공개키를 리모트 서버에 넣어두면 된다 내 컴이 윈도우인 경우는 내 홈디렉토리에 .ssh 폴더를 만들어지고 원하면 다른 폴더를 사용해도 된다. 비공개키가 여러개면 이름을 다르게 한다 그러나 ssh키는 하나만 만들어서 여러서버에 올려두는 것이 더 편하다. 하나의 서버에 여려계정으로 연결할 때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ssh를 사용해라 그.. 더보기
MTU 사이즈 변경으로 SNI 차단 회피 1, 관리자모드로 cmd 창 열기 2. 현재 MTU 사이즈 확인 netsh interface ipv4 show interface 3. MTU 크기를 (352윈도우업데이트 후 바뀌었다 헐.) 576 로 한다 이보다 작게하면 윈도우10의 tcp 가 오작동한다 모든 네트웍이 안된다... 헐 netsh interface ipv4 set subinterface 4 mtu=576 store=persistent 4. store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리부팅 후 원래대로 복구하므로 리부팅으로 원상상구방법을 사용하려면 고려하시라 더보기
VC / MFC 이용하여 중첩된 디렉토리를 한 번에 만들기 #include bool MakePath(LPCTSTR szPath) { char szMake[MAX_PATH]; while (1) { strcpy(szMake, szPath); while (!CreateDirectory(szMake,NULL)) { DWORD dwError = GetLastError(); if (dwError != ERROR_CANNOT_MAKE && dwError != ERROR_PATH_NOT_FOUND ) return false; if (!PathRemoveFileSpec(szMake)) return false; } if (!strcmp(szMake, szPath)) return true; } return false; } 더보기
nafxcwd.lib(afxmem.obj) : error LNK2005: "void * __cdecl operator new() nafxcwd.lib(afxmem.obj) : error LNK2005: "void * __cdecl operator new() ---------------------- MFC 라이브러리와 CRT 라이브러리 충돌로 인한 문제. MFC 라이브러리를 Static Library를 사용하여 링크하도록 설정할 때 발생할 수 있다. ---------------------- >>>> 해결법 입력 > 추가종속성 에 ( 디버그모드 -> nafxcwd.lib, 릴리이즈 모드 -> nafxcw.lib ) 를 추가한다 더보기
MFC(CWinApp) 에서 제공하는 레지스트리 함수 참조하기 // MFC제공함수를 이용해 쉽게 레지스트리 사용하기 예제 // 직접 실행할 때와 서비스에서 로그인사용자정보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실행했을 때 사용 레지스트리가 다르므로 주의 필요함 // SetRegistryKey(_T("회사명")); 함수를 호출하면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사용하는 환경이되고 // SetRegistryKey(_T("회사명")); 함수를 호출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프로그램명.ini)를 사용한다. // 즉 SetRegistryKey(_T("회사명")); 함수를 호출하면 CWinApp 의 멤버변수인 m_pszRegistryKey 에 레지스트리 키값이 설정된다. //---------------------------------------------------------- HKEY hSecKey = G.. 더보기
add manifest.xml file for only debug mode in android studio 1. make "debug" folder at src directory2. add AndroidManifest.xml file to "debug" folder 파일내용으로 디버그시만 적용됨 더보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3.x 버전용 빌드 (debug, release,...) 구성하기 요거 알아내는데 하루걸렸다쩝!~~ 이포스트는 안드로이드 개발 시 디버그모드, 릴리즈 모드...로 각각 실행해 보거나 각각의 설치파일을 만들 때 환경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중요한 설명 { 모드 (Flavors + build-type) 와 Build Variant 의 관계 } flavors : 한 개의 프로그램을 두가지 서로 다른 버전으로 관리 할 수 있다 (무료와 돈내는것....등등) 기본적으로 defaultConfig 가 자동 생성된다 build-type : debug, release, alpa, beta 얼마든지 추가하시라. 기본적으로 debug, release 두가지 모드는 자동 생성해 준다 Build Variant : flavors + build-type 를 엮어서 컴파일및 실행을 하게 해주는 .. 더보기